생활정보

광명,, 신안산선 붕괴 사고, 지반 침하,, 원인, 문제점, 대처 방안

mdoc 2025. 4. 17. 05:47
반응형

최근 광명시 일직동에서 발생한 신안산선 복선전철 공사 현장의 지반 침하와 관련된 사고는 지역 주민들에게 큰

우려를 안겨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고의 원인과 문제점, 그리고 향후 대처 방안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사고 원인 및 문제점

신안산선 복선전철 공사는 경기도 안산에서 서울 여의도까지를 연결하는 대규모 철도 사업으로,

현재 5-1공구 구간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공사 과정에서 지반 침하와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특히, 시흥시청 인근의 공사 현장에서는

세륜시설 미비로 인해 도로가 흙탕물로 뒤덮였고, 대형 차량들의 통행으로 인한 소음과 비산먼지가

주민들의 불편을 초래하고 있습니다 .​

또한, 광명시 학온역 공사 현장에서는 30대 근로자가 지하 공동구에서 작업 중 추락사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이 사고는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대상이며, 고용노동부는 업체 측의 안전 관리 소홀 여부를 조사하고 있습니다 .

 

⚠️ 주요 문제점

- 안전 관리 미흡: 공사 현장에서의 안전 조치 부족으로 인한 사고 발생.

- 환경 오염: 세륜시설 미비로 인한 도로 오염과 비산먼지 발생.

- 교통 혼잡: 대형 차량들의 통행으로 인한 도로 훼손과 소음.

- 공사 지연: 인허가 지연, 토지 수용 지연 등으로 인한 개통 지연 우려.​

 

🛡️ 대처 방안 및 향후 계획

국토교통부는 신안산선 복선전철의 안전한 개통을 위해 공사 현장의 안전 점검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해빙기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공사 현장의 안전 관리 상태를 철저히 점검하고 있으며, 사고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위한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 

또한, 지역 주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공사 구간 주변의 환경 정비와 교통 안내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시화호수로 구간의 도로 차단으로 인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임시 우회도로를 개통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

 

🚆 신안산선의 주요 기능과 역할

신안산선 복선전철은 수도권 서남부 지역의 교통 편의를 크게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됩니다.

안산의 한양대학교 에리카캠퍼스에서 서울 여의도까지의 이동 시간이 기존 100분에서 27분으로 단축되어 출퇴근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습니다 .​

또한, 신안산선은 대심도 지하철 방식으로 건설되어 지상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지역 개발과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신안산선 복선전철의 공사는 지역 주민들의 교통 편의를 높이는 중요한 사업이지만, 공사 과정에서의 안전 관리와

환경 보호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앞으로도 공사 현장의 안전과 환경 관리를 철저히 하여 주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안전한 철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오늘도 안전한 하루 보내세요^^

반응형